
안녕하세요?
오늘은 자동차 품질관리에 있어서
VDA 6.3 Process audit에서
P2 : Project management들에
대하여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.
P2 : Project management 주요항목

주요 항목들에 대한 내용이구요.
각 항목들에 대하여 세부항목들을
살펴보겠습니다.
(※주의!!※)
참고로 고객사마다 요구사항이 다를 수
있다는 점 꼭 염두해 두시길 바라며
해당 사항이 절대적이지 않으니
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.
2.1 Is the project organisation (project management) established and are tasks & authorities specified for the team leader and team members?
프로젝트 조직(프로젝트 관리)이 이루어 졌고, 팀 리더 및 팀원들에 대한 업무/권한이 정해졌는가?
▶상호 개발팀 ( CFT )의 조직도를 보유중인가?
▶project team leader, member의 명확한 Job description
( 업무, 능력, 책임, 요구되는 지식 등 )이 규정되어야 함.
2.2 Are the resources required for the project development planned and available and are all changes displayed?
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요구된 자원들이 계획되고 이용가능한가? 모든 변경사항들은 표시되는가?
◆ APQP plan 혹은 project plan에 하기 내용이 언급되고 고려되어야 함.
▶개발에 필요한 자원들에 대한 계획 및 승인, 변경에 대한 절차 ( 필요자원 : 인적, 물적, 재정적 자원, 정보 )
▶ CFT팀장 및 팀원들에 대한 인적 자원의 업무 부하율이 고려되어져 있는가?
▶ Project 진행에 필요한 예산 및 인적 자원에 대한 업무 부하등이 고려되어 조절되고 있는지?
( 타 고객사의 타 project등도 고려된 증빙 필요 )
2.3 Is there a project plan and has this been agreed with the customer?
프로젝트 계획이 있고, 이 계획이 고객과 협의 되었는가?
▶ Milestones_고객사 일정이 포함된 project plan이 있는가?
▶ Critical delivery item이 project plan에 포함되어 있는가? ( 여유가 없는 일정을 의미함 )
▶ 구매에 관한 활동이 명확하게 규정되었는지 확인
( 금형,설비,부품….)
▶ 사전 품질 확보 계획이 고객 요구 사항에 일치하는가?

2.4 Is change management in the project ensured by the project organisation ?
프로젝트에서 변화점 관리는 프로젝트 조직에 의해 지켜지는가?
▶ 제품 개발시 변경사항을 다루는 절차를 가지고 있는가?
모든 변경사항들이 절차(process)에 따자 진행되고 이력이 문서화 되어 있는지?
▶필요시, 변경에 대한 타당성검토가 되었는지?
( 고객에 의해서, 업체에 의해서든 모든 변경사항을 다 포함함. )
▶ Sub supplier 또는 내부적인 원인에 의한 Deviation 발생시 고객과 동의가 이루어 졌는지?
( 형식화된 form 활용 권장 )
2.5 Are the responsible personnel within the organisation and in the customer's company involved in the change control system ?
변화점 관리 시스템과 관련하여 조직내 및 고객사에 책임자가 있는가?
▶ Change 변경을 다루는 절차를 보유중인가?
( 신규제품 뿐만 아니라 설변에 대한 )
-. Change request form 보유중인지? Change 변경에 대한 승인은 했는지?
변경사항에 대하여 절차서에 언급된 허용 기한내 배포 및 승인 진행등에 대한 이력
▶ 고객으로 정보주는 자와, sub-supplier와 정보를 교류하는 자가 명확히 구분되어야함.
▶ 변경에 대한 matrix를 보유하면 좋다
( 고객 신고 or 고객 승인 or 내부 진행 등 )
2.6 Is there a QM plan for the project ? is this implemented and monitored regularly for compliance ?
프로젝트를 위한 QM 계획이 있는가? 그 계획은 정기적으로 유연성있게 실행되고 규칙적으로 모니터 되는가?
▶ 고객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모든 QM 활동들에 대한 QM plan을 보유중인가?
( Project plan 안에 포함되어도 됨. )
QM 활동 : SPC, MSA, FMEA, C/P, DOE 등등
▶ QM plan 역시 정기적으로 review가 진행되고 있는가?
2.7 Is there an established escalation process and is this implemented effectively ?
수립된 escalation 프로세스가 있는가? 그것은 효과적으로 시행되는가?
▶ escalation 절차를 보유 중인가?
▶ 승인된 Escalation에 대한 유효성 평가가 진행되었는가?
▶ escalation 결정을 위한 criteria를 보유 중인가?
( Who, What, how, When..)
Risk에 크기에 따라 결정하면 됨.
→ 정기적인 project review가 이루어지고 있으며, top management에게 내용 전달이 되고 있는지 증명하라.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동차 품질관리] VDA 6.3 process audit (P4 : Carrying out the product and process development) (0) | 2023.01.29 |
---|---|
[자동차 품질관리] VDA 6.3 process audit (P3 : Planning the product and process development) (0) | 2023.01.28 |
[자동차 품질관리]VDA 6.3 process audit (주요항목 요점) (0) | 2023.01.25 |
[자동차 품질관리] VDA 6.3 인증의 개요 및 필요성 (0) | 2023.01.25 |
유튜브 음악 MP3파일로 전환 하는 방법_USB저장하기 (0) | 2023.0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