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5 : Supplier management 주요항목

주요 항목들에 대한 내용이구요.
각 항목들에 대하여 세부항목들을
살펴보겠습니다.
(※주의!!※)
참고로 고객사마다 요구사항이 다를 수
있다는 점 꼭 염두해 두시길 바라며
해당 사항이 절대적이지 않으니
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.
5.1 Are only approved/released and quality-capable suppliers selected?
승인되고 / 릴리즈 되고 품질 능력이 있는 공급자가 선택되었는가?
▶ 협력업체 certi 인증 현황 보유중인가?
( ISO/TS, SQ 등등 )
▶ 협력업체와 Quality 지수 관리 중인지 ?
( Quality, Cost, service, supplier reliability 등 )
▶ 정기 process audit 또는 그에 해당하는 적당한 방법으로 평가를 진행하는가?
( 계획 대비 실적 _ self audit 및 타 OEM 고객사가 대신 진행해도 무방함. )
▶ 협력업체 관련한 비상사태 전략을 보유중인가?
( emergency strategy : 결품 )
▶ 협력업체 결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있는가?
5.2 Are the customer's requirements taken into account in the supply chain?
고객 요구사항이 공급선에서도 고려되었는가?
▶ 고객 요구사항( 설변 뿐만 아니라 구매 오더 포함 )이 협력업체로 정확히 전달이 되는 시스템을 보유중인지?
( 고객 요구사항이 협력업체로 정확히 전달되어야 하며, 기록 관리 되어야 함. )
▶ 변경사항 발생시 시스템에서 고려가 되고 있는지?
5.3 Have target agreements for delivery performance been agreed with suppliers and put into operation?
납입 성과에 대한 합의가 협력업체와 합의되고 적용되는가?
▶ 주요( Key ) 협력업체와 Quality target를 맺었는가? ( 측정 가능한 target이어야 함.)
e.g 불량 수량, 문제 건수, ppm 등등
▶ Quality target은 Quality + Cost + Delivery 를 포함함.
▶ Target 불만족시 필요한 Action을 취하고 있는지?
5.4 Are the necessary approvals/releases available for the out-sourced products and services?
외주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하여 필요한 승인/릴리즈가 가능한가?
▶ 외주 협력업체와 양산전에 ISIR 진행 완료되었는가? ( 도번 기준 )
→ Bosch 승인된 금형 혹은 tool일 경우 : ISIR 반드시 진행되어야 함.
→ Bosch 승인된 원소재(e.g granulate, steel ) : sample test 진행되어야함.
▶ ISIR 진행에 대한 절차 보유중인가?
▶ IMDS/ REACH등 국제 법규 사항 만족해야함.
5.5 Is the quality of the out-sourced products and services ensured?
외주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이 보증되는가?
▶ VQP/VQS 활동과 연계되어 외주부품이 개발되었는가?
▶ 정기적인 검사를 진행하는가? ( 수입검사 )
▶ 8D report 등을 통하여 부적합 발생시 진행하고 있는가?
▶ 외주 협력업체와 품질 개선 활동을 진행하는가?
( workshop, quality discussion, CIP etc.)
▶ 협력업체와 Requalification 진행하고 있는가?
( lay out inspection : 정밀검사 )
5.6 Are incoming goods stored appropriately?
입고 자재들은 적합하게 보관 되는가?
▶ 입고되는 제품에 대한 식별관리 및 지정된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?(수입검사 전/후)
▶ 보관 장소에 대한 청결도, 관리 상태 및 보관 상태 양호한지?
▶ 보관된 수량 및 위치등이 관리되고 있는지?
( 현황판 관리 상태 )
▶ 선입선출 및 Lot 관리 양호한지?
5.7 Are personnel qualified for the various tasks and are responsibilities defined?
다양한 임무에 대하여 자격을 갖춘 인원이 있고 책임이 규정되어 있는가?
▶ 수입검사 인원에 대한 업무 분장이 명확한지?
▶ 수입검사 인원에 대한 필요 교육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으며 실행되고 있는지?
▶ 수입검사 인원에 대한 교육 이수 후 자격 부여가 되어 있는지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