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기타

Core tool : FMEA(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) 고장모드 및 영향분석

반응형

FMEA(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) 고장모드 및 영향분석

1) 정의

- 제품 및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장모드와 그 영향을 도표,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

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개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품질관리 도구

- 제품 및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고장형태와 그 영향을 인식(심각도), 고장원인 및

고장형태의 발생확율을 추정하고 예방 관리 방법을 평가(발생도), 검출 관리방법을 평가하여(검출도)

각각 점수화(1~10)한 후 이들의 곱을 위험우선수(RPN, 1~1000)로 정하며,

높은 위험우선순의 고장형태에 대하여 권고조치(예방/시정조치)를 수립하고 조치함으로써, 고장의 위험을

사전에 예방한다는 것을 보장하는 수단

2) 목적

- 제품/공정의 주요 문제점을 제거/예방하여 품질, 신뢰성, 안정성을 향상

- 위험감소를 위한 문서와 탐지 조치.

- 강건 관리계획, 검증계획을 지원

- 발생된 문제점을 예방하거나 제품과 프로세스상의 문제를 제거 및 감소

3) 적용

- 1960 : 우주항공산업(NASA), 1970 : 타 산업분야(원자력), 1980 : 자동차산업(Ford),

1990~ : QS9000, ISO/TS16949

4) 종류

- 설계 FMEA , 공정 FMEA , 시스템 FMEA 등

5) 연계성

- 설계FMEA → 공정흐름도(PFD : Process Flow Diagram) → 공정 FMEA → 관리계획서 (CP : control plan)

6) 위험우선수(RPN : Risk Priority Number)

- RPN = 심각도(S) * 발생도(O) * 검출도(D), 1과 1000사이에 분포

- 심각도가 9나 10이면, 팀은 기존 설계관리나 권고조치를 통해 위험을 관리한다는 것을 반드시 보장해야 한다.

- 조치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한 실행으로는 RPN 분계점의 사용을 권고하지 않는다.

(1)심각도:해당 고장형태에 대한 가장 심각한 영향과 관련된 값.

(2) 발생도:고장의 특정한 원인이 발생할 가능성.

(3) 검출도:검출관리란에 나열된 최상의 검출관리와 연관된 등급

반응형